맨위로가기

아우토반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반 1호선은 독일의 아우토반으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 자를란트주까지 연결된다. 1920년대에 계획이 시작되어, 1937년에는 독일 최초의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 중 하나인 카메너 크로이츠가 개설되었다. 함부르크 남단 주변 구간은 1962년에 개통되었다. 주요 경유 도시는 뤼베크, 함부르크, 브레멘, 오스나브뤼크, 뮌스터, 도르트문트, 쾰른 등이며, 여러 분기점과 인터체인지를 통해 다른 아우토반 및 연방 도로와 연결된다. 현재 여러 구간에서 4차선 또는 6차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확장 및 신규 건설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995호선
    아우토반 995호선은 독일 바이에른주를 지나는 아우토반이자 유럽 고속도로 E54의 일부로, 뮌헨 외곽 교통 흐름 개선과 주변 지역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호헨브룬 고속도로 유지 관리 부서가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아우토반 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국가독일
종류A (아우토반)
노선 번호1
유럽 도로E22, E29, E37, E44, E47, E233, E422
총 길이749 km
방향남북
북쪽 종점하일리겐하펜
남쪽 종점자르브뤼켄
이전 노선아우토반 995호선
다음 노선아우토반 2호선
통과 주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함부르크, 니더작센주, 브레멘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라인란트팔츠주, 자를란트주
지도
독일 아우토반 1호선 지도
독일 아우토반 1호선 노선도
주요 경유 도시
도시함부르크, 브레멘, 오스나브뤼크, 뮌스터, 도르트문트, 쾰른, 트리어

2. 역사

아우토반 1호선은 아우토반 2호선과 함께 1920년대부터 계획되었다. 1937년에는 두 노선을 잇는 카멘 분기점이 독일 최초의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 중 하나로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본격적인 건설이 이루어져, 1962년에는 함부르크 남부를 우회하며 엘베강을 건너는 중요 구간이 개통되었고, 1960년대 말까지 북부 뤼벡에서 서부 쾰른 인근까지 주요 노선이 연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루르 지역 통과 구간, 쾰른 순환도로 일부 등 주요 산업 및 도시 지역을 연결하는 구간들이 건설되었다.[2]

1970년대 이후에도 노선 확장은 계속되었으며, 특히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노선 번호 체계 조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북쪽으로 하일리겐하펜 방면 연장 공사가 진행되었고, 아이펠 지역의 미개통 구간 해소를 위한 공사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도 일부 구간의 확장 및 신규 건설이 진행 중이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카멘 분기점 (Kamener Kreuz)


아우토반 1호선과 아우토반 2호선의 계획은 1920년대에 시작되었다. 1937년에는 A1과 A2 사이의 분기점인 카멘 분기점(Kamener Kreuz)이 개통되었는데, 이는 독일 최초의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 중 하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이미 일부 구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건설과 확장은 전쟁 이후에 이루어졌다. 전쟁 전에 건설이 시작되었던 베르기셰스란트 지역의 베르멜스키르헨-렘샤이트 구간은 1951년부터 추가 건설이 진행되어 1953년 7월 15일에 운영이 시작되었고, 1956년에는 하겐까지 연결되었다. 1957년에는 카멘 분기점과 도르트문트/운나 분기점 사이의 구간이 완공되었다. 1961년에는 마침내 도르트문트/운나와 하겐 사이의 끊어진 구간이 연결되어 '루르탄겐테'(Ruhrtangente)라고도 불리는 구간 건설이 완료되었다.

1960년대에는 여러 주요 구간이 개통되었다. 함부르크 남단 주변의 A1 구간은 엘베강을 건너는 다리를 포함하여 1962년에 개통되어, 도시 양쪽의 기존 아우토반 구간을 연결하는 우회 도로 기능을 했다. 브레멘-브레멘/브린쿰 구간은 1963년에 개통되었고, 1964년에는 델멘호르스트까지 연장되었다. 1965년에는 빌데스하우젠 근처 구간과 뮌스터에서 카메너 크로이츠까지의 구간이 완공되었다.[2] 1966년에는 빌데스하우젠 서쪽과 동쪽의 두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브레멘에서 클로펜부르크까지 아우토반 통행이 가능해졌고, 1967년에는 홀도르프까지 연결되었다. 뮌스터 남쪽에서 카멘 분기점까지의 구간은 루르 지역의 광산 개발로 인한 지반 침하 문제를 고려하여 리페 강과 다테른-함 운하를 교차하는 지점에서 도로를 증설했다.

쾰른 고속도로 순환도로(Kölner Autobahnring)의 북부 구간 건설도 1960년대에 진행되었다. 쾰른 북부를 우회하는 17.8km 길이의 이 노선은 1930년대 계획을 바탕으로 1961년 계획 승인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1m 길이의 레버쿠젠 라인 다리를 포함하여 1965년에 완전히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추후 6차선 확장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레버쿠젠 분기점과 쾰른-니힐 분기점 사이에는 A3와 마찬가지로 가로등이 설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전쟁 전에 계획되었던 다운과 자르브뤼켄 사이 노선 건설도 1960년대에 재개되어, 카이저제시-비틀리히 구간이 1965년에 단일 차선 도로(B408)로 완공되었다. 이 노선은 1967년 고속도로로 승격되었고, 하스본 지역의 프랑스군 탄약고 문제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1968년 7월 1일부터 지속적인 통행이 가능해졌다. 이후 두 번째 차선 공사가 진행되어 1970년에 완료되었다.

1968년에는 홀도르프-뮌스터 구간이 완공되면서 마침내 북부의 뤼벡에서 서부의 쾰른-서부 분기점까지 A1 노선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2. 2. 함부르크 주변 구간 개통

1962년, 함부르크 남단 주변의 아우토반 1호선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구간에는 엘베강을 건너는 다리가 포함되어 있다. 이 우회 도로는 함부르크 도시 양쪽에 이미 존재하던 아우토반 구간들을 연결했다.

2. 3. 1970년대 이후 확장

1967년에 고속도로로 승격된 카이저제시-비틀리히 구간은 단일 차선으로 개통되었으나, 1970년에 두 번째 차선이 완공되었다.

뮌스터 남쪽에서 카멘 분기점까지의 구간은 루르 지역의 광산 개발로 인한 지반 침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페 강과 다테른-함 운하 교차 지점에서 도로를 증설해야 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 불카이펠 삼각지대와 트리어 사이 구간에서 A 48 노선과의 이중 번호 지정 문제가 발생했다. A 48의 데른바흐-베츨라어 구간 건설 계획이 취소되면서 해당 노선 명칭은 불카이펠 삼각지대 - 데른바흐 삼각지대로 축소되었다. 트리어 북서쪽 룩셈부르크 국경까지 이미 건설된 구간은 A 64로, 헤센주 내 완공된 구간들은 A 480 및 A 5로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았다.

2000년대 초부터 홀슈타인주의 올덴부르크 북쪽 연장과 아이펠 지역의 블랑켄하임-다우 사이 미개통 구간 해소가 추진되었다. 2002년 12월 20일, 올덴부르크 북쪽 구간에 두 번째 차선이 개통되었고, 2005년 8월 21일에는 이전 B 207 도로였던 그레머스도르프까지의 구간이 고속도로로 승격되었다. 2008년 8월 25일에는 하일리겐하펜-미테 분기점까지 연장되었으며, 2012년 7월 6일에는 하일리겐하펜-오스트까지의 3.5km 구간이 연결되었다.

한편, 2006년 7월 26일부터 8월 1일까지 하겐-베스트와 베스호페너 크로이츠 사이 구간이 심각한 열 손상으로 인해 브레멘 방향으로 폐쇄되었다. 30년 된 노면이 고온에 손상되어 전체 노면을 재포장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아이펠 지역의 미개통 구간 해소도 라인란트-팔츠 측에서 계속 진행되었다. 2005년에는 다우에서 북쪽으로 2.5km 연장되어 렌겐 임시 분기점까지 이어졌고, 2010년 10월에는 게롤슈타인 분기점까지 3.5km 더 연장되었다. 가장 최근인 2012년 5월 31일에는 켈베르크 분기점까지 2.5km가 추가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환경 규제로 인해 계획이 지연되면서 미개통 구간의 완전한 해소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3. 노선

아우토반 1호선(A 1)은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발트해 연안 도시 하일리겐하펜에서 시작하여 남서쪽으로 자를란트주의 주도인 자르브뤼켄까지 이어지는 연방 고속도로이다. 뤼베크, 함부르크, 브레멘, 오스나브뤼크, 뮌스터, 도르트문트, 쾰른 등 독일의 주요 도시들을 통과하는 핵심적인 교통 동맥이다.

노선 북쪽 구간은 하일리겐하펜에서 시작하며, 페마른 섬의 풋가덴까지 연장될 계획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페마른 벨트 해협을 건너 덴마크코펜하겐까지 연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함부르크 북쪽 구간은 Vogelfluglinie|포겔플루크리니에de(철새 비행 경로)의 일부이며, 뤼베크에서 루르 지방 남쪽(도르트문트 부근)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Hansalinie|한자liniede(한자 동맹 노선)라고도 불린다.

노선 중간에는 쾰른 남쪽 아이펠 지역을 통과하는 구간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이 미완성 구간 때문에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은 A 48, A 61 및 여러 지방도를 이용해 우회해야 한다. 아이펠 구간의 완공 계획은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완공 시기는 미정이다.

아우토반 1호선은 구간에 따라 양방향 2차선 또는 3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함부르크 주변, 함부르크뮌스터 사이(휴가철), 도르트문트쾰른 사이(도로 공사 시), 그리고 쾰른 순환 구간은 교통량이 많아 상습적인 정체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쾰른 주변 구간은 연평균 일일 교통량(AADT)이 10만 대에서 12만 대에 달하며, 특히 남행 차선 일부 구간은 2차선으로 좁아져 정체가 심하다.

3. 1. 주요 분기점 및 교차로

(Kreuz Lübeckde)A 20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27바르테하이드 교차로
(Kreuz Bargteheidede)A 21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31함부르크 동 교차로
(Kreuz Hamburg-Ostde)A 24함부르크35함부르크 남동 분기점
(Dreieck Hamburg-Südostde)A 25함부르크39마셴 교차로
(Maschener Kreuzde)A 7, A 39니더작센주53브레멘 교차로
(Bremer Kreuzde)A 27니더작센주58a슈투어 분기점
(Dreieck Stuhrde)A 28니더작센주82카메너 교차로
(Kamener Kreuzde)A 2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84도르트문트/운나 교차로
(Kreuz Dortmund/Unnade)A 44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86베스트호펜 교차로
(Westhofener Kreuzde)A 45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92부퍼탈 북 교차로
(Kreuz Wuppertal-Nordde)A 43, A 46, B 326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레버쿠젠 분기점
(Kreuz Leverkusende)A 3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쾰른 북 교차로
(Kreuz Köln-Nordde)A 57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블리스하임 분기점
(Dreieck Bliesheimde)A 61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3. 2. 주요 경유 도시

아우토반 1호선은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 시작하여 남서쪽으로 자를란트주까지 이어지며 여러 주요 도시와 지역을 경유한다.

트리어 동부

4. 특징

아우토반 1호선(A1)은 독일의 중요한 교통축 중 하나로,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구간은 양방향 2차선 또는 3차선(총 4차선 또는 6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통량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거나 계획되고 있다. 함부르크 주변, 함부르크뮌스터 사이 구간, 도르트문트쾰른 사이 구간 등 특정 지역에서는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하며, 특히 휴가철이나 도로 공사 시 정체가 심화될 수 있다. 쾰른 주변은 특히 교통량이 많은 구간이다. 아우토반 1호선의 많은 구간에서는 별도의 속도 제한이 없지만[1], 쾰른 순환 고속도로와 같이 교통량이 매우 많은 구간이나 아우토반 61호선(A61)과 합류하는 구간 등에서는 안전을 위해 속도 제한이 적용되거나 가변 속도 제한 시스템이 운영된다.

4. 1. 차선

아우토반 1호선(A1)은 대부분의 구간이 양방향 2차선 또는 3차선(총 4차선 또는 6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함부르크 주변, 함부르크와 뮌스터 사이의 휴가 기간, 도로 공사 구간, 특히 도르트문트쾰른 사이 및 쾰른 주변에서는 교통 체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A1의 많은 구간에서는 속도 제한이 없다.[1]

'''아우토반 1호선 주요 구간별 차선 수'''
구간 시작점 ! 구간 종점 ! 차선 수 (양방향 기준)비고
하일리겐하펜 동 분기점 | 4차선 | B207 확장 구간
뤼베커 크로이츠 | 6차선 | A 226 합류
함부르크-쥐트 분기점 | 4차선 | 함부르크 동쪽 우회 구간
부흐홀츠 분기점 | 4차선 | A 7 분기
브레머 크로이츠 | 6차선 | A 261 합류, 2012년 10월 확장 완료
슈투어 분기점 | 6차선 | 확장 완료
아홀르너 하이데 분기점 | 4차선 | A 28 분기
로테/오스나브뤼크 분기점 | 4차선/6차선 혼재 | 오스나브뤼크까지 6차선 확장이 대부분 완료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4차선
뮌스터-노르트 | 4차선 |
뮌스터-힐트루프 | 6차선 | 뮌스터 우회 구간
카머너 크로이츠 | 4차선 |
쾰른-베스트 분기점 | 6차선 | 대부분 6차선, 일부 확장 중
에르프트슈타트 분기점 | 4차선 | 아이펠아우토반 시작 구간
블리샤임 분기점 | 6차선 | A 61과 병주 구간
블랑켄하임 | 4차선 |
논바일러 분기점 | 4차선 |
자르브뤼켄-부르바흐 분기점 | 4차선 | A 62 분기



특히 쾰른 순환 고속도로 구간(분기점 98–104)은 AADT이 100,000대에서 120,000대에 달할 정도로 혼잡하며, 양방향 3차선(총 6차선)으로 운영된다.

'''쾰른 주변 구간 차선 및 속도 제한'''
구간 시작점 (분기점 번호) ! 구간 종점 (분기점 번호) ! 차선 수 (양방향 기준)속도 제한 (km/h)비고
104 | 6차선 (양방향 3차선) | 대부분 100 | 쾰른 순환 고속도로
102 (북쪽 방향) | 6차선 | 120 | 최근 상향
100 (북쪽 방향) | 6차선 | 120 | 최근 상향
107 | 4차선 (양방향 2차선) | 대부분 제한 없음 | 105-104 북쪽 방향은 120
109 | 6차선 (양방향 3차선) | 가변 속도 제한 | A1과 A 61 병주 구간



현재 여러 구간에서 6차선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크로이츠 뤼베크에서 마센너 크로이츠 방향 구간, 아홀르너 하이데 삼거리에서 오스나브뤼크 방향 일부 구간(AS 로네/딩클라게 ~ AS 브람셰), 카메너 크로이츠와 크로이츠 쾰른-베스트 사이 일부 구간 등이 해당된다. 또한, 블랑켄하임과 켈베르크 사이의 미개통 구간 연결 계획도 진행 중이다. 일부 오르막 구간에는 추가 차선(3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4. 2. 혼잡 구간

아우토반 1호선은 특정 구간에서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한다. 주요 혼잡 구간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아우토반 1호선의 대부분 구간은 별도의 속도 제한이 없다.[1]

4. 3. 속도 제한

아우토반 1호선(A1)의 대부분 구간에는 속도 제한이 없다.[1] 그러나 특정 구간에서는 교통량이나 도로 상황에 따라 속도 제한이 적용된다.

특히 쾰른 순환 고속도로(분기점 98–104) 구간은 연평균 일일 교통량(AADT)이 100,000대에서 120,000대에 달할 정도로 교통량이 많아, 대부분 최고 속도가 시속 100km로 제한된다. 다만, 분기점 103과 102 사이, 그리고 분기점 101과 100 사이의 북쪽 방향 구간은 최근 시속 120km로 제한 속도가 상향 조정되었다. 과거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 당시에는 분기점 102와 103 사이에 임시 3차선이 설치되었고, 이 좁은 차선의 제한 속도는 시속 80km였다.

쾰른 순환 고속도로 남쪽 구간(분기점 104-107) 중, 분기점 105와 104 사이의 북쪽 방향에서는 시속 120km의 속도 제한이 있으나, 그 외 구간은 별도의 속도 제한이 없다.

분기점 107과 109 사이는 아우토반 61호선(A61)과 노선이 합쳐지는 구간으로, 양방향 3차선으로 운영되며 교통 상황에 따라 속도가 조절되는 가변 속도 제한 시스템이 적용된다.

5. 계획

아우토반 1호선을 북쪽으로 풋가덴까지 연장하고, 페마른 벨트를 건너는 다리를 통해 덴마크코펜하겐까지 연결하는 장기적인 계획이 있다. 또한, 쾰른 남쪽의 미완성 구간(블랑켄하임-켈베르크)을 연결하기 위한 계획도 추진 중이다. 이 구간에는 이미 1970년대에 아우토반 48호선과 연결되는 아이펠 화산 나들목이 건설되었으나, 본선 연결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미완성 구간이 완공되기 전까지 해당 구간의 통과 교통은 아우토반 48호선, 아우토반 61호선 및 여러 지방도를 이용하고 있다.

5. 1. 확장 및 신규 건설

아우토반 1호선은 지속적으로 확장 및 신규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북쪽으로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하일리겐하펜까지 연장되었다. 2008년 8월 하일리겐하펜-미테 분기점까지 개통되었고, 2012년 7월에는 하일리겐하펜-오스트 분기점까지 연결되었다. 향후 페마른 벨트 해협 고정 링크 건설과 연계하여, 하일리겐하펜-오스트에서 풋가덴까지 기존 연방 도로 207호선을 4차선 아우토반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 약 22km 구간은 2030년 완공을 목표로 2023년 1월에 착공되었다.[6] 계획에 따라 페마른 벨트를 건너는 다리를 통해 덴마크코펜하겐까지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

함부르크와 브레멘 사이의 구간은 교통량이 많아 확장이 진행 중이다. 부흐홀츠 분기점과 브레멘 분기점 사이의 6차선 확장 공사는 2008년 8월 PPP(민관 협력 사업) 방식으로 시작되어 2012년 10월 완료되었다. A1 mobil 컨소시엄이 30년간 운영 및 유지 관리를 맡고 트럭 통행료 수입의 일부를 받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초기부터 부실 공사 논란(개통 3개월 만에 아스팔트 교체), 운영사의 재정난, 건설 현장 구간에서의 교통사고 급증(2008~2009년 121% 증가)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추가 비용 발생 시 연방 정부의 부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17년에는 운영사가 예측보다 낮은 화물 운송량을 이유로 연방 정부에 6.4억유로의 지급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현재 함부르크 남동부 구간(A 25 분기점 ~ A 7 호르스터 삼각지대)은 8차선 확장 계획이 있으며, 부흐홀츠 삼각지대까지는 6차선 확장이 계획되어 있다. 또한 2020년대에는 신설되는 A 26과 연결하기 위해 함부르크-슈틸호른 분기점을 확장할 예정이다. 브레멘 분기점과 슈투어 분기점 사이는 8차선 확장 계획이 추가적인 요구 사항으로 포함되었다.

브레멘에서 오스나브뤼크 방향으로도 확장이 진행되었다. 아흘호르너 하이데 삼거리에서 오스나브뤼크까지 6차선 확장이 대부분 완료되었으며, 각 구간은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 (클로펜부르크까지 2012년, 베흐타까지 2009년, 브람셰까지 2010년, 로테/오스나브뤼크까지 2007년). 로네/딩클라게에서 노이엔키르헨-푀르덴 구간은 2015년 계획이 최종 결정되었고, 노이엔키르헨-푀르덴에서 브람셰 구간은 계획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니더작센파크 산업 단지 연결을 위한 추가 분기점 설치 요구가 있으며, A 33과의 교차 분기점(69번) 건설도 계획되어 있다.

2017: 6차선 확장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로테/오스나브뤼크 분기점 개보수 공사


오스나브뤼크에서 쾰른까지의 구간도 전면 6차선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뮌스터 지역은 뮌스터-힐트루프 분기점(2014년 개통)까지 6차선 확장이 완료되었으며, 아멜스뷔렌에서 카머너 크로이츠까지의 구간은 우선순위로 확장될 예정이다. 카메너 크로이츠에서 쾰른-베스트 분기점까지는 대부분 6차선으로 운영된다. 부퍼탈과 렘샤이트 사이의 마지막 6차선 확장 구간은 2012년과 2018년에 걸쳐 완공되었다. 도르트문트/운나, 베스트호페너, 부퍼탈-노르트 교차로 확장도 계획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은 8차선 확장도 고려 중이다.

쾰른 순환도로 구간은 완전히 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쾰른-복클륀트와 크로이츠 쾰른-웨스트 사이(뢰베니히 터널 포함)는 2012년, 쾰른-복클륀트와 쾰른 노르트 사이는 2015년에 6차선 개통이 완료되었다. 일부 구간(쾰른-니엘~쾰른-노르트, 블리스하임 크로스까지의 A 61 공용 구간)은 8차선 확장 계획이 있다. 그러나 레버쿠젠 라인 다리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3.5톤 초과 차량의 통행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10차선 신규 교량 건설이 2017년 시작되었다. 이 신규 건설 계획은 지역 사회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아이펠 지역의 미개통 구간인 블랑켄하임과 켈베르크 사이(약 25km)의 연결은 오랜 숙원 사업이다. 1970년대에 아이펠 화산 나들목(A 48 연결)이 건설되었지만, 블랑켄하임과 켈베르크 사이의 본선 연결은 환경 문제와 자연 보호 단체의 반발 등으로 인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 구간은 3개 구간으로 나뉘어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30년 연방 교통 인프라 계획에 우선 요구 사항으로 포함되어 있다. 완공 전까지 통과 교통은 A 48, A 61 및 지방도를 이용해야 한다.

남쪽 끝인 자르브뤼켄에서는 A 1을 서쪽의 A 620까지 연장하고, A 623과 연결하는 계획이 있다. 그러나 환경적인 이유로 이 구간은 연방 교통 인프라 계획 2030에서 특별한 자연 보호 계획 지침이 필요한 긴급한 프로젝트로 양방향 교통을 위한 2차선으로만 지정되었다. 기존 4차선 캠하우저 도로가 A 623에서 루트비히스베르크 분기점에서부터 웨스트 슈팡겐브뤼케까지의 B 268 구간으로 연결되어 고속도로와 같이, 즉 중앙 분리대와 평행 교차로 없이 확장된 후 A 1으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의 실현은 아직 추진되지 않고 있다. 2013년 6월 1일에 예비 계획이 시작되었다. 연방 간선도로 확장법에는 계획 권한을 가진 4차선 신규 건설이 추가 요구 사항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확장 공사 과정에서 새로운 분기점들이 건설되었다. 함부르크-브레멘 구간에 엘스도르프 분기점이 신설되었고, 2010년에는 뮌스터/오스나브뤼크 공항 분기점(75번 출구)이, 2014년에는 뮌스터-힐트루프 분기점(79A번 출구)이 개통되었다.

5. 2. 환경 문제

아이펠 지역의 블랑켄하임과 켈베르크 사이 약 25km 구간은 아직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이 미개통 구간 해소 계획은 1980년대 초부터 추진되었으며, 2003년 연방 교통 인프라 계획의 우선 수요 사업으로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환경 문제로 인해 상당 기간 지연되고 있다. 2004년부터 계획 노선에 대한 자연 보호 평가가 진행되었고, 특히 유럽 연합의 서식지 지침 및 조류 보호 지침과 같은 엄격한 환경법규 준수 문제로 인해 계획 승인 절차가 복잡해졌다. 이로 인해 2005년 이후 계획 승인 결정이 여러 차례 수정되었으며, 당초 2015년까지 전 구간을 연결하려던 목표는 달성되지 못했다.

이 구간 건설에 대해 지역 주민과 기업 대표들은 경제 활성화 등을 이유로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환경 보호 단체들은 자연 파괴를 우려하며 법적 대응까지 예고하는 등 사회적 갈등도 존재한다. 또한 라인란트-팔츠 주 정부 내 연립 정당 간에도 건설 추진에 대한 이견이 있다.

현재 미개통 구간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담당 약 15km와 라인란트-팔츠 주 담당 약 10km로 나뉘어 추진 중이며, 세부적으로는 다음 세 구간으로 구성된다.

전체 도로 연결에는 약 4억유로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세 구간 모두 2030년 연방 교통 인프라 계획에 우선 요구 사항으로 포함되어 있다.

한편, 해당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쾰른자르브뤼켄 같은 주요 도시 간 장거리 이동 시 A48과 A61이라는 대체 경로가 존재하여 A1 미개통 구간 연결의 필요성에 대한 다른 시각도 존재한다. 현재 이 구간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굴곡이 심한 B258 도로를 이용해야 한다.

참조

[1] 지도 Map of speed limits on German Autobahns (blue: no speed limit) http://autobahnatlas[...]
[2] 웹사이트 Verkehrsfreigaben 1964 http://www.autobahn-[...]
[3] 웹사이트 Zusammenstellung der Verkehrsfreigaben 1980 http://www.autobahn-[...]
[4] 웹사이트 Zusammenstellung der Verkehrsfreigaben 1977 http://www.autobahn-[...]
[5] 서적 Die größte Autobahnbrücke der Saarheimat Im St. Wendeler Land, XII. Ausgabe 1972, Am Oberlauf der Prims
[6] 웹사이트 B 207: AS Heiligenhafen-Ost – AS Puttgarden In Bau https://www.deges.de[...]
[7] 웹사이트 Bundesgesetzblatt http://www.bgbl.de/x[...] 2017-02-05
[8] 웹사이트 Umsetzung - Ablauf - A 26-Ost https://web.archive.[...] 2018-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